본문 바로가기
Book

과학자가 되는 방법_남궁석

by ayubowan 2019. 1. 30.

1. 

너무 오랜만에 책을 완독했다. 여유가 있든지 없든지 책을 가까이 해야하는데, 연구에 매진한다는 핑계로 논문을 제외한 활자를 너무 멀리하고 지냈다. 그 사이에 스마트폰으로 볼 수 있는 짧은 기사나 youtube를 필두로 한 영상 매체 하고만 친분을 돈독히 했다. 여유를 찾은 김에 호흡이 긴 글도 다시금 차근차근 읽어야겠다.


2.

남궁석 교수가 전하는 학부에서부터 직업 선택까지 과학/공학자가 되는 과정에서 고민해야하는 혹은 고민하게되는 문제들을 쉬운 글로 설명한 책이다. 학위를 마치면서 지난 나의 학위 과정을 돌이켜보고 싶어서 선택했다. 


아, 내가 이 책을 조금 더 조금 더 일찍 접했더라면......


3. 

최초의 지식을 찾고 이를 논문의 형태로 발전시키는 학계의 연구에 지쳤고, 생각보다 재능이 없다고 판단했기에 기업 연구원이 되는 길을 택했다. 기술을 실체화하는 연구를 해보고 싶은 마음과 제조업이 돌아가는 생리를 경험해 보고 싶은 마음도 이러한 선택을 부추겼다. 


또 막상 회사에서 필요로 하는 연구를 경험 해보면 재능 없음에 좌절하거나 녹록치 않는 현실에 지치는 순간이 있을 수도 있고, 어쩌면 흥미를 느끼고 좋은 성과를 낼 수도 있다. 어떤 결과를 마주하게 되든 연구를 하는 순간에는 "과학을 진정으로 좋아하는 사람"이 되기 위해 즐겨보고 싶다.


다시 또 한 걸음 발을 내딛어 보자.


4-1. 과학자

25p 현대 과학자에게 필요한 지적 능력은 문제를 순식간에 해결하는 능력보다는 쉽게 풀리지 않는 문제에 좌절하지 않고 오랫동안 붙잡고 있을 수 있는 집요함이다.


223p 과학의 기본은 모르는 것을 모른다고 하는 것, 그리고 다른 사람의 의문에 성실하게 답하는 것임을 기억하라.


4-2. 학부

41p 시간적 여유가 있을 학부 시절에 연구자로서의 '기초체력'을 기르는 것이 중요하다.


4-3. 지도교수 및 연구실

70p-71p 벤 바레스는 지도교수 선택을 위한 원칙을 제시했다.

1) 훌륭한 과학자인 지도교수를 선택한다.

2) 동시에 훌륭한 멘토가 될 수 있는 지도교수를 선택한다.


107p 연구실의 동료들은 단순히 같은 연구실 출신 선후배 개념을 넘어, 자신의 연구에 얽힌 문제를 서로 누구보다 부담없이 상의할 수 있는 관계가 되어야 한다.


4-4. 논문

85p-86p 결과를 비판적으로 읽자. - 중략 - 연구논문을 읽을 때는 제시된 데이터가 논문의 주장을 뒷받침하는지에 대해 비판적으로 생각하고, 자기가 내린 결론을 저자의 결론과 비교하는 작업이 중요하다.


88p 많은 연구자들이 연구 방법 부분을 그래도 따라하면 연구를 재현할 수 있는 연구 메뉴얼이라고 오해하지만 사실은 그렇지 않다. 연구 방법은 논문이 다루는 학문 분야에 지식이 있는 사람이, 논문의 연구가 얼마나 성실하게 수행되었는지 판단할 때 근거가 되는 참고 자료일 뿐이다. 


135p 자신이 세운 첫 가설이라면 애착을 갖고 있겠지만, 가설에 집착해 헛되이 시간을 낭비하는 것이야말로 박사과정 연구를 피곤하게 하는 주된 원인이다. 집착을 버리고 유연하게 대처하는 것도 훌륭한 한 명의 연구자가 되는 과정이다.


151p 일단 연구를 시작할 때 가설과 줄거리를 설정하되, 산출되는 결과를 가설과 줄거리에 끼워 맞추는 데 너무 집착하지 않는 것이다.


4-5. 박사과정

138p 박사과정에서 익혀야 하는 것은 (외부의 도움을 받을 수 있겠지만) 문제를 해결하는 주체가 바로 자신이라는 인식이다. 아직 풀리지 않은 문제에 대해 두려워하지 않으며 오히려 이러한 문제가 어디 있는지를 찾아 나서고자 하는 자세가 확립되어야만 한 사람의 과학자로 완성될 수 있다.


204p 박사과정 때와 다른 테크닉을 사용하는 연구실에 가서 동일한 주제를 복수의 테크닉으로 접근해 보거나, 같은 테크닉을 유지하되 주제를 다른 것으로 바꾸어 시야를 넓히는 것이다.


250p 교수처럼 생각하고 행동하는 사람이 교수가 된다.


298p 과학자가 되는 훈련 과정에서 진정으로 얻은 것은 특정한 연구 업적이라기보다는 이를 통해 얻은 경험이고, 과학자가 되기 위해서 닦은 분석적 사고력과 과학적 문제 해결 능력이다.